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임마누엘 레비나스
- 우상향 그래프
- 알랭 바디우
- 난간 없이 사유하기
- 해석학적 순환
- 한나 아렌트
- sea life aquarium
- 초객체
- 조르조 아감벤
- 집단적 트라우마
- 도나 헤러웨이
- 책임 윤리
- 선이해
- timothy morton
- cogat
- 기억의 연대
- 뉴욕
- 혼종성
- 실천 이성 비판
- 디페쉬 차크라바티
-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 철학적 해석학
- 타자의 얼굴
- 캐나다
-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
- 타자
- 장기투자
- 행성적 사고
- 생명정치
- S&P 500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도나 헤러웨이 (1)
BetterLife 님의 블로그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법 – 도나 해러웨이의 『Staying with the Trouble』을 읽고
요즘 세상은 그야말로 "문제투성이(trouble)"입니다. 기후 위기, 생물 다양성의 붕괴, 기술과 자본의 폭주, 그 속에서 길을 잃은 인간성까지. 이런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도나 해러웨이는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에서 우리에게 도망치지도, 낙관하지도 말고 "문제 속에 머물라"고 이야기합니다. 처음엔 그 말이 꽤 낯설었습니다. 문제는 해결해야 하는 것 아닌가? 왜 거기 '머물라'고 할까? Chthulucene 시대를 살아간다는 것해러웨이는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를 ‘Anthropocene(인류세)’나 ‘Capitalocene(자본세)’ 대신 ‘Chthulucene(크툴루세네)’라고 부릅니다. 발..
북리뷰 (Book Review)
2025. 4. 11.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