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집단적 트라우마
- timothy morton
- 우상향 그래프
- 기억의 연대
- 캐나다
- 조르조 아감벤
- 타자의 얼굴
- 타자
- 행성적 사고
- 철학적 해석학
- 임마누엘 레비나스
- 선이해
-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
- S&P 500
- 뉴욕
- 실천 이성 비판
- 초객체
- sea life aquarium
- 해석학적 순환
- 혼종성
- 한나 아렌트
- 난간 없이 사유하기
-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 책임 윤리
- 디페쉬 차크라바티
- 장기투자
- 알랭 바디우
- cogat
- 생명정치
- 도나 헤러웨이
- Today
- Total
목록알랭 바디우 (2)
BetterLife 님의 블로그
슬라보예 지젝, 앨랭 바디우, 조르조 아감벤은 현대 철학과 신학의 중요한 접점에서 바울의 신학을 정치적 해석의 자원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들은 바울의 신학적 사유를 통해 오늘날의 정치적 현실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할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으며, 각자의 철학적 틀 안에서 바울을 해석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들의 철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바울의 신학이 어떻게 오늘날의 정치적 현실을 타개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슬라보예 지젝: 바울의 신학과 혁명적 개입지젝은 바울의 신학을 정치적 혁명의 이론으로 간주하며, 바울이 제시하는 신학적 구조가 현대 사회에서 기존의 질서를 뒤엎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봅니다. 지젝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주체화"와 "타자"의 문제입니다. 그는 ..
1. 들어가며: 기존 윤리학을 비판하는 바디우알랭 바디우(Alain Badiou, 1937~)는 현대 철학에서 독창적인 입장을 구축한 프랑스 철학자로, 특히 존재론, 정치철학, 윤리학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의 저서 Éthique: Essai sur la conscience du Mal (1993, 『윤리학: 악의 의식에 대한 시론』)은 윤리적 사고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로서, 전통적인 윤리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윤리 개념을 제시한다. 바디우는 현대 윤리학이 보편적 도덕 원칙에 의존하거나, 인간 고통에 대한 동정심을 중심으로 구성된다고 보면서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그는 윤리를 ‘진리에 대한 충실성(fidelity to truth)’이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정의하며, 윤리적 삶이란 특정한 상황..